2023년 5월 Vol.3
안녕하세요🌿
한 달 동안의 국립산림과학원 소식을 담은 5월 홍릉숲 소식입니다.
|
|
|
최근 대형 산불 발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지난 5월 3일, 대형 산불 피해지 복원에 관한 연구 결과와 차후 계획을 알리는 기자브리핑 시간을 가졌습니다. 브리핑에서는 고성, 삼척 등 산불 피해지에 심은 나무들의 생존율, 숲의 생태계를 구성하는 산림생물들의 회복 시간 등 그간의 연구성과와 앞으로의 복원 방향 등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관련 내용은 이미지 클릭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
밀원수는 꽃으로부터 꿀벌의 먹이인 꿀을 분비하여 꿀벌의 생활을 돕는 나무입니다. 5월 20일 세계 벌의 날을 맞아 국립산림과학원 밀원자원연구실을 소개합니다. 우리나라 양봉 생산의 약 70%를 아까시나무 한 가지 수종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국립산림과학원은 꿀 잠재생산량이 높은 나무를 발굴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클릭을 통해 확인해 보실까요?
|
|
|
이팝나무는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갈잎큰키나무로 25m정도까지 자랍니다. 이름의 유래에는 몇가지 설이 있지만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은 절기 중 입하에 꽃이 핀다 하여 ‘입하목’으로 부르던 것이 변화했다는 주장입니다. 학명인 ‘Chionanthus retusus’는 흰 눈을 뜻하는 ‘Chion’과 꽃을 의미하는 ‘Anthos’가 합쳐져 하얀 눈꽃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름날의 설경같은 홍릉숲 이팝나무의 모습을 함께 감상해 보실까요?
|
|
|
국립산림과학원은 제주, 진주, 영주, 포천 등에 여의도 면적 약 20배에 해당하는 숲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신비로움이 가득한 제주지역의 삼나무숲과 곶자왈을 감상해 보실까요? 국립산림과학원 유튜브 숏츠 영상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
2022년 수행한 연구과제 중 활용가치가 높은 연구내용을 요약 정리해 발간한 ‘2022 산림과학연구 주요성과’, 2027년까지의 시험림 운영 장기계획을 보완하는 ‘산림과학연구 시험림 중기 운영 및 관리계획’을 국립산림과학원 전자 도서관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
|
홍릉숲 소식에 전하고 싶으신 말씀을
아래 주소로 남겨주세요.
|
|
|
국립산림과학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57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