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4월 Vol.2
안녕하세요🤗
홍릉숲 소식 4월호입니다.
4월호에는 홍릉숲 소리모임 지니뮤직 런칭,
숲이 우리에게 주는 선물 12가지,
전통한지 태지 복원,
5월 홍릉시민아카데미 사전접수 소식을 담았습니다.
|
|
|
국립산림과학원이 위치한 청량리동 홍릉숲은 2천여 종의 식물이 자라나고 있는 풀벌레와 새들의 안식처입니다. 4월 27일 오늘, 홍릉숲 소리모임을 지니뮤직 서비스로 런칭합니다. 나무, 꽃, 새, 바람이 들려주는 핑크사운드로 숲에 있는 듯한 안락함을 느껴보세요! 오디오 콘텐츠는 지니뮤직 모바일 앱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
|
국토녹화 50주년을 맞아 산림의 공익적 기능을 화폐가치로 평가해 보았습니다. 평가 결과, 산림공익기능 총 가치는 259조원에 달했습니다. 기능 중 온실가스 흡수・저장이 97.6조 원으로 총 평가액 중 가장 큰 비중(37.8%)을 차지했습니다. 산림의 공익기능가치는 산림기본통계가 갱신되는 5년 주기로 평가될 계획입니다. 우리 산림의 공익기능을 보다 과학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지속하겠습니다!
|
|
|
봄철 꽃나무 개화시기 예측지도를 국립산림과학원 산악기상정보시스템 사이트 하단의 개화・개엽 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까시나무와 마가목, 미선나무, 철쭉, 산철쭉 등을 전국 18개 행정구역을 대상으로 서비스합니다. 개화시기 예측지도로 나들이 계획을 세워보세요!
|
|
|
홍릉숲 문배나무길과 천년숲길 사이로 흰 꽃이 가득 핀 ‘가침박달’ 두 그루가 마주보고 있습니다. ‘가침’은 바느질감을 꿰맨다는 ‘감치다’에서 유래되었는데요, 씨방이 마치 바느질로 꿰맨 것 같은 모양새라 붙여졌다 합니다. ‘박달’은 박달나무처럼 단단한 목질을 가지고 있어 붙여졌습니다. 홍릉숲의 아름다운 가침박달, 함께 감상해 보실까요?
|
|
|
‘태지’는 고문헌에 다수 등장하는 전통한지입니다. 명확한 제조법은 전수되지 않은 잊혀진 한지이기도 했습니다.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에서 태지의 현미경적 구조를 분석해 핵심원료가 해캄임을 구명했습니다. 다양한 제조법을 시도한 끝에 복원해내는 데까지 성공했다고 하는데요, 돌아온 태지의 모습을 영상에서 확인해 볼까요?
|
|
|
개화는 식물의 생식 과정인 동시에 수분 곤충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태계 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현상입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1999년부터 홍릉숲 내 수목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개화모니터링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20년간의 개화일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홍릉숲의 개화’를 이미지를 클릭해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
|
오는 5월 20일 토요일 제 2회 홍릉시민아카데미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과학관에서 개최됩니다. 산림휴먼서비스과 이정희 박사가 ‘숲을 즐기는 방법’이라는 주제로 강의할 예정입니다. 강의 후에는 홍릉숲 해설이 이어집니다. 사전접수는 5월 10일부터 19일까지 홍릉숲 탐방 예약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세부일정을 보시려면 포스터를 클릭해주세요!
|
|
|
이 달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입니다. 더욱 푸르러진 5월에 다시 만나요!
|
|
|
국립산림과학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57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