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0월 Vol.8 10월호의 주제는 가을 수확철을 맞은 우리 임산물입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국민에게 건강한 임산물을 제공하는 동시에 임업인의 소득을 증대하기 위해 산림과수, 버섯, 산양삼 등의 신품종 육성 및 재배기술, 수확 후 관리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우리 임산물 연구성과를 발간물을 통해 살펴볼까요? |
|
|
밤나무, 호두나무, 다래 등 산림과수를 대상으로 우량개체 선발을 통한 신품종 개발과 증식법, 수형관리, 수확적기 구명 등 재배관리 기술 개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했습니다. 최근에는 수종별 기능성 성분 분석 효과 구명 등 산업화 기반 마련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
|
◆ 산림과수 품종육성 및 재배관리 기술 (2022) |
|
|
표고와 송이 등 소득작물을 중심으로 재배기술 최적화와 품종개발연구를 수행해왔습니다. 나아가 국내에 자생하는 유용한 버섯자원을 수집해 재배법을 개발하고, 기능성 물질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홀로바이옴 정보를 이용해 식물과 주변 미생물간 상호작용을 파악함으로써 재배의 효율성을 높이는 균주를 선발하고 있습니다. |
|
|
◆ 송이 및 상업적인 균근성 버섯 재배 연구 (2023) |
|
|
산림청의 「산양삼 산업육성 대책」에 따라 기초기술을 개발하고 산업화와 연계할 수 있는 과제를 추진중입니다. 우량 계통을 선발하여 현지 외 보전원을 조성하였으며, 재배적지 선정과 친환경 관리기술 개발 연구를 통해 최적생육조건을 구명하였고, 품질규격을 표준화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최근에는 병해충 조사를 통한 친환경 방제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
|
수확 후 관리란, 농·임산물이 소비자에게 도달되는 과정에서 신선도를 유지하고 부패를 방지함으로써 품질향상, 손실경감, 유통기간 연장을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는 모든 조치를 말합니다. 임산물 수확 후 관리는 현재 도입단계인데요, 농산물에 적용되고 있는 전처리 기술, 포장 및 저장기술을 도입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실제 적용가능한 기술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했습니다. |
|
|
◆ 단기소득 임산물 수확 후 품질관리 (2022) |
|
|
국립산림과학원 SNS에서
우리 임산물 이야기를 확인해보세요! |
|
|
전통시장과 마트에서 만나는 임산물도
이런 연구과정을 거친 끝에 우리를 찾아왔을 겁니다.
과학기술이 담긴 우리 임산물, 식탁에 올려보시는 건 어떨까요? |
|
|
건강한 우리 임산물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연구합니다. |
|
|
국립산림과학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57
|
|
|
|
|